강병대교회(强兵臺敎會) - 등록문화재 제38호 1952년 건립한 이 건물은 한국전쟁 당시 모슬포에 육군 제1훈련소가 정식으로 설치되면서 훈련 장병들의 정신력을 강화하기 위해 훈련소장인 장도영(張都暎, 1923~ 2012) 장군의 지시로 건립된 교회이다. 제주도산 현무암을 사용하여 벽체를 쌓고..
화적연( 禾積淵, 볏가리소) - 명승 제93호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와 관인면 사정리 경계에 있는 화적연은 한탄강에 있는 큰바위와 깊은 연못으로 이루어진 절경이다. 마치 볏 짚단을 쌓아 올린 것 같은 형상이어서 '볏가리소'의 한자역 '화적(禾積)' 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어느 날 한 늙은 ..
한탄강 임진강 국가지질공원(漢灘江 臨津江 國家地質公園) 한탄강(漢灘江) 한반도 중서부 화산지대를 관류하는 강으로 북한 지역인 강원도 평강군 장암산(長巖山, 1,052m) 남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김화군 경계를 따라 남쪽으로 흘러들어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시·연천군을 차례로 ..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 천연기념물 제537호 비들기낭 폭포- 천연기념물 제537호(2012. 9. 25 지정) '비둘기낭'이란 이름은 옛날부터 이곳 동굴과 암석이 갈라진 틈(절리라고 부름)에 멧비둘기들이 많이 서식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
우도 환해장성(牛島 環海長成) 우도 환해장성(牛島 環海長成) 세종5년 1423년 당시 우도(牛島)는 왜적의 침입이 잦았고, 또한 고각(鼓角)소리에 풍우가 일어 농사를 망친다는 설화도 담겨 있다. 중종 5년 1510년 제주목사 장립이 명월목성을 축성했는데, 그 곳이 비양도(주의 서쪽)와 가깝고, ..
방사탑(防邪塔) - 제주 우도 방사탑(防邪塔) - 제주 우도 방사탑은 마을의 재앙과 무사안녕을 기원하고 액 등을 막기 위해 세웠다. 보통 2기가 한조이며 북쪽방향 하르방탑(남), 남쪽방향 할망탑(여)으로 구성되어 있고, 축조물은 현무암으로 쌓는다. 꼭대기 새의 형상은 마을 안으로 들어오..
제주동자석(濟州童子石) 제주동자석(濟州童子石) 제주의 동자석은 조선 초기부터 약 1900년 전후 제주의 장묘문화의 하나로 무덤 좌우에 세웠던 작은 석물이다. 그 크기(30~100㎝)와 모양이 다양하며 무덤을 장식하는 기능과 정주목이나 돌하르방처럼 잡신을 방어하는 수호신적인 의미도 있..
용암이 빚어낸 아름다움, 제주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 주상절리(柱狀節理, columnar jointing)란 주로 현무암질 용암류에 나타나는 기둥모양의 수직절리로서 다각형(보통은 4~6각형)이며, 두꺼운 용암(약 섭씨 1100도)이 화구로부터 흘러나와 급격히 식으면서 발생하는 수축작용의 결과로서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