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일출랜드 '미천굴(美千窟)' 미천굴은 제주도 15개 동굴군 중 삼달리(三澾里) 동굴군(洞窟群)의 대표 동굴이다. 아름다움이 1,000가지나 된다고 해서 아름다울 美, 일천 千을 합쳐 미천굴(美千窟)이 됐다. 미천굴 길이는 제1굴인 가지굴과 제2굴인 주굴을 합쳐 1700m다. 이중 가지굴인 365m만..
동자복과 서자복 - 제주도민속자료 제1호 동자복과 서자복 - 제주도민속자료 제1호 시기 : 고려시대 후기 ~ 조선시대 후기(복제품) 동자복과 서자복은 옛 제주성 바깥 동쪽과 서쪽에 성안을 지키는 듯 세워져 있었다. 구전으로는 '복신미륵, 자복, 자복미륵, 미륵, 큰 어른' 등으로 불려 왔다..
울릉도 저동항(苧洞港) 울릉도 오징어 대부분이 취급되는 저동항(苧洞港)은 1967년 1월 어업전진기지로 지정되어 13년간의 공사를 거쳐 1980년에 준공된 항구로, 울릉도에서 도동항에 이은 제2의 항구이다. 새벽 어판장에서는 오징어(성어기:9월~11월)와 같은 싱싱한 횟감을 싼 값에 살 수 있..
용암수형석(熔岩樹形石) - 제주 돌마을공원 용암수형석(熔岩樹形石) 제주도에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희귀한 용암이 분포합니다. 바로 용암수형석이란 용암이 바로 그것입니다. 용암수형석이란 용암의 한종류를 일컫는 말인데 이 용암은 특이하게도 나무둥치꼴의 공동을 남기고 형..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지금으로부터 약 2,000만 년전(신생대 마이오세) 이 지역 일대에 현무암질의 용암이 흐르고 식으면서 다양한 모양과 방향의 주상절리가 발달한 암석이 형성되었다. 대부분의 주상절리들이 수직 또는 경사된 방향으로 발달한 것과는 달리 이곳에는 수평방향의 주상절..
서귀포층 패류화석 산지(西歸浦層 貝類化石 産地),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195호서귀포 패류화석층은 해안절벽을 따라 약 40m 두께로 나타나며,현무암질 화산재 지층과 바다에서 쌓인 퇴적암 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서귀포층은 제주도 형성 초기에 일어난 화산활동과 그로 인한 퇴..
제주의 상징 "돌하르방" 제주의 다공질 흑색 현무암으로 조각된 돌하르방은 제주의 상징이 되어 왔다. 돌하르방이 맨 처음 출현되었던 시기는 아직까지 아무도 모른다. 원래 돌하르방은 마을의 입구에 세워져 마을의 수호신으로서 어떤 영적 역할을 통하여 재앙과 불운을 막아내는 기능..
제주의 돌담 제주는 화산섬으로 걷다보면 구멍이 뚫린 현무암 화산석 돌담을 볼 수 있다. 제주의 돌담은 화산섬으로 돌과 자갈이 많은 척박한 땅이다. 땅속에 박혀있는 돌들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돌담을 쌓기 시작해 밭과 밭 사이의 경계구역을 표시하는 밭담으로 역할을 하다 이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