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조계사(大韓佛敎曹溪宗 曹溪寺) 조계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종의 총본산으로 대중과 더불어 사는 세상을 추구하는 대승의 보살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또한 한국근현대사의 격동기를 우리 민족과 함께한 역사의 현장으로, 특히 암울한 일제치하 시대를 극..
지리산 화엄사(智異山 華嚴寺) 화엄사는 6세기 중엽(544년, 백제 성왕) 인도에서 온 연기(緣起)조사 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신라의 자장율사(慈裝律師)와 의상대사(義湘大師),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 등 여러 고승에 의해 중창되어 조선 세종 6년(1424년) 에는 선종대..
구례 화엄사 각황전(求禮 華嚴寺 覺皇殿)화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시대에 지었다고 전한다.조선시대에는 선종대본산(禪宗大本山) 큰절이었는데,임진왜란 때 완전히 불타버린 것을 인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원래 각황전터에는 3층의 장륙전이 있었고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은 높이 6.4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등이며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도 한다.전체적인 모양은 신라시대 석등의 기본인 팔각형이나 아래 받침돌의 중간 간주석(竿柱石)이 장고 모양으로 생긴 특징이 있다.곳..
화엄사 보제루(華嚴寺 普濟樓)본래 법요식(法要式) 때 승려나 신도들의 집회를 목적으로 지어진 건물로서 대웅전 앞 한 단 낮은 터에 위치하고 있다.대웅전 쪽은 지면 위에 막돌초석을 놓아 바로 기둥을 세웠으나, 반대쪽에서는 한 단 낮은 터에 막돌초석을 놓고, 기둥을 세워 누정(樓亭) ..
구례 화엄사 대웅전(求禮 華嚴寺 大雄殿)지리산 자락에 자리한 화엄사는 통일신라시대에 화엄10찰(華嚴十刹) 중 하나로서 유구한 역사를 지닌 대가람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의 본사이다. 화엄사 대웅전은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로 "사적기"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6년 ..
화엄사 금강문(華嚴寺 金剛門)금강(金剛)은 쇠 가운데 가장 강한 것이라는 뜻이며 그 무엇도 이를 파괴할 수 없으나금강은 모든 것을 파괴할 수 있으므로 금강의 마음을 가지면 모든 번뇌도 없어진다.화엄사 금강문은 사찰의 중문 역할을 하는 문으로 인조 10년(1632년) 벽암 각성선사께서 ..
벽암국일도대선사비(碧巖國一都大禪師碑)높이 355.5cm의 이 비(碑)는 임진왜란 때 소실된 화엄사(華嚴寺)를 중창하신 벽암 각성(碧巖 覺性,1575~1660)스님의 비이다.법명은 각성(覺性), 호는 벽암(碧巖), 속성은 김씨, 충북 보은 출신이다.10세때 화산(華山)의 설묵(雪默)을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