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
한 폭의 천, 보자기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26. 19:10
인문 보자기(引紋褓) 마에 그림, H 69cm ✕ W 68cm, 19~20세기 하얀색 직물 위에 다양한 색으로 길상무늬를 그려 넣어 만든 홑 보자기이다. 보자기 가운데의 원형 안에는 봉황 한 쌍이 마주 보고 있고, 주변에 원형으로 ‘壽(수)’ 자, 영지, 모란 무늬 등이 표현되어 있다. 두 모서리에 달린 끈에는 ‘壽’ 자, 영지 모양의 불로초, 꽃무늬가 그려져 있다. 회염(繪染)은 직물 위에 직접 그림을 그려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조선시대 궁에서 사용했던 보자기에서 많이 보인다. 인문 보자기(引紋褓) 면(綿)에 그림, H 93cm ✕ W 98cm, 19~20세기 하얀색 직물 위에 붉은색 염료로 그림을 그려 넣은 홑 보자기이다. 보자기 가운데에는 봉황 한 쌍이 마주 보고 있고, 꽃이 그 주위를 둘러싸고..
-
도구, 장인의 손을 돕다.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25. 19:09
도구, 장인의 손을 돕다. 도구(道具)는 장인(匠人)의 손발과 같고 오랜 제작과정을 함께하는 장인의 삶의 일부이다. 장인이 공예 재료들의 물성(物性)을 실험하고, 가공하여 작품을 제작해가는 과정에서 도구 또한 유기적으로 변화, 발전해 간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소목장 도구(小木匠 道具) 길이를 재단하는 자(尺), 나무 판재를 켜는 톱, 부재를 다듬는 대패 등으로 구성된다. 칠장 도구(漆匠 道具) 칠을 바르는 귀얄과 주걱, 칠 면을 갈아내어 다듬는 숫돌, 칠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칠 거름 틀 등으로 구성된다. 나전장 도구(螺鈿匠 道具) 자개를 오리는 실톱, 자개를 끊어내는 상사 칼, 오린 자개를 다듬는 줄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실톱은 나전장의 섬세한 솜씨를 발현해주는 ..
-
백자청화(白磁靑畵) ‘壽福(수복)’ 무늬 항아리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24. 19:07
백자청화(白磁靑畵), 청화백자 백자청화는 본래 14세기 초 중국에서부터 생산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세조 시기부터 18~19세기까지 만들어진 조선백자의 일종으로 알려졌다. 순도 높은 백자에 청색의 코발트 안료로 무늬를 그리고, 그 위에 투명 유약을 입혀 환원염(還元焰)에서 구워낸 도자기를 말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백자청화(白磁靑畵) ‘壽福(수복)’ 무늬 항아리 白磁靑畵 丙寅嘉禮時銘壽福文壺(백자청화 병인가례시명수복문호) -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백자에 청화 안료로 문양을 그림, 높이 20.6cm ✕ 폭 14.5cm, 1866년(고종 2년) 백자청화 밤송이와 ‘福(복)’ 자 무늬 접시 白磁靑畵 栗福字文接匙(백자청화 율복자문접시) 백자에 청화 안료로 문양을 그림, 높..
-
분청사기(粉靑沙器)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21. 19:05
분청사기(粉靑沙器)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胎土) 위에 정선된 백토로 표면을 분장한 뒤에 유약을 씌워 환원염에서 구운 조선 초기의 도자기로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분청사기 상감 용무늬 매병(粉靑沙器 象嵌 龍紋 梅甁) 분청사기에 문양 상감, 높이 28cm ✕ 입 지름 4.9cm, 조선 전기 15세기 분청사기 청화 당초문(粉靑沙器 鐵花 唐草紋) 장군 분청사기에 철화, 높이 18.3cm ✕ 폭 24.3cm, 조선 전기 15세기 분청사기 음각 물고기 무늬 병(粉靑沙器 陰刻 魚紋 甁) 분청사기에 음각, 높이 31.7cm ✕ 입 지름 6.6cm, 조선 전기 15세기
-
나전칠 빗접(螺鈿漆梳函, 나전칠소함)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20. 19:10
나전칠 빗접(螺鈿漆梳函, 나전칠소함) 백골에 흑칠(黑漆) 후 나전(螺鈿)으로 문양 장식, 높이 23.5cm x 폭 16.5cm, 조선 후기 머리단장 도구를 보관하는 상자이다. 나무로 만든 백골(白骨)에 옻(漆) 칠을 하고 뚜껑 윗면과 몸체에 나전으로 칠보, 파초, 부채, 수복(壽福) 자, 천도, 파초선, 학과 소나무, 꽃과 나비, 매화와 새 등의 다양한 문양을 장식했다. 모란 넝쿨무늬가 세밀하게 조이질(금속 표면에 두드려서 무늬를 새기는 방법) 된 앞바탕과 길채 등 놋쇠 금구 장식은 왕실 기물들에서 보이는 요소들을 공유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
만인의 가구, 반닫이와 소반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14. 20:10
강화(江華) 반(半)닫이 만(卍) 자 무늬를 투각하여 장식한 일(一) 자 모양의 무쇠 장석(裝錫)이 특징이다. 앞바탕과 감잡이 등에도 다양한 무늬를 투각(透刻)으로 장식하여 장식성이 돋보인다. 뻗침 대가 천판(天板) 앞쪽 모서리에 달렸으며 마대형 다리를 갖추었다. 나무 H 84.7cm ✕ W 96.8cm ✕ D 48.0cm, 조선 후기 양산(梁山) 반(半)닫이 대부분 너비에 비해 높이가 낮다. 경첩의 윗부분은 불로초 모양, 아랫부분은 제비꼬리 모양을 하고 만(卍) 자 무늬를 다양하게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느티나무 H 71cm ✕ W 95.6cm, 조선 후기 나주(羅州) 반(半)닫이 장식을 최소화하여 목재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금속 장석은 기능상 필요한 부분에만 단순화된 형태로 달았다. 중앙..
-
조선의 백자청화(白磁靑畵)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12. 21:10
조선의 백자 제작 15세기 중반 조선의 중앙집권체제가 정비됨에 따라 1460년대 후반 국영(國營) 자기 생산기지라고 할 수 있는 분원(分院)이 광주(廣州)에 처음 설립되었다. 분원은 1883년까지 400년 이상 유지되었다. 분원은 왕실 요리와 왕실용 자기의 제작을 담당하던 관청인 사옹원(司饔院)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1300˚C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지는 조선만의 특징적인 백자와 청화백자가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왕실(王室)과 관부(官府)에 납품되었다. 조선은 자기 생산을 다른 어떤 분야보다 중요하게 여겨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사옹원에 속하는 사기장(沙器匠) 인원만 총 380명으로 규정하였다. 국가 의례와 왕실 생활에 필요한 자기들을 생각했던 사기장들은 다른 국가사업에 동원되지 않았고, 제작 기술은 세습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