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
휴식, 사유, 소통의 분청 의자 세트 - 이강효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6. 19:05
도예가 이강효 도자 작품 '휴식, 사유, 소통'의 분청 의자 세트(서울공예박물관 공예마당) 안동별궁 전경(安洞別宮 全景) - 1910년대 추정,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1927년 경성시가도(京城市街圖)에 표시된 안동별궁 (문화재청, 2009 안국동 별궁 이전복원 수리보고서) 대경성부대관(大京城府大觀)에 표시된 안동별궁 – 1936년,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순종황제 사진(純宗皇帝 寫眞)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순정효황후 사진(純貞孝皇后 寫眞)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안동별궁 터(安洞別宮 址) 조선시대 초부터 왕실의 거처였다가 마지막 황제 순종의 가례(嘉禮) 처로 사용되던 궁터 안동별궁 담장 서울공예박물관 서쪽에 남북방향으로 조성된 안동별궁 관련 담장 기초가 확인되었다. 규모는 폭 115cm, 잔존 길이는 61m..
-
장인(匠人)이 새긴 왕실의 특별한 이름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3. 20:11
조선시대 죽책(竹冊) : 대쪽에 글을 써서 엮어 만든 책 장인(匠人)이 새긴 왕실의 특별한 이름 조선시대에는 왕비·왕세자·왕세손 등을 책봉하거나 왕·왕비·세자·후궁 등에게 특별한 이름(존호나 시호)을 올릴 때 그 사실이 담긴 기록물, 즉 어책(御冊)이 제작되었다. 왕·왕비의 경우는 옥(玉)으로 제작되어 옥책(玉冊), 왕세자·후궁의 경우는 대나무로 만들어져 죽책(竹冊)이라고 했다. 어책은 그 시대 최고의 기량을 가진 남녀 장인(匠人)들 100명 이상이 최고의 재료를 국가로부터 제공받아 재료의 가공부터 마지막 기물의 완성에 이르기까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제작하는 최고 수준의 왕실 공에품이기도 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
청자의 빛깔(The Color of Celadon)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2. 1. 20:08
청자의 빛깔(The Color of Celadon) 산화제이철(Fe2O3, 酸化第二鐵)이 1~3% 함유된 회색빛 흙으로 그릇을 빚은 후 유약(釉藥)을 씌워 1,200℃ 이상의 고온에서 환원염(還元焰)으로 구우면 산화제일철(FeO, 酸化第一鐵)이 형성되고, 표면이 투명하고 단단한 유리질로 코팅된다. 이러한 화학적 변화에 더해 유리질 부분에서 빛의 산란(散亂)과 굴절(屈折) 작용이 일어나 우리 눈에는 자기(瓷器)가 푸른빛으로 보이게 된다. 그러나 청자(靑瓷)는 태토(胎土)의 철분 함유량, 가마 안에서 흙 속의 철분이 산소와 만나거나(산화) 태워져 사라지는(환원) 현상들에 의해 푸르게도, 누렇게도 보일 수 있다. 청자의 다양한 빛깔은 이렇게 해서 생겨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안국동) 서울공예박물관
-
송준길 서첩 – 민기 묘표, 신도비(宋浚吉 書帖 - 閔機 墓表, 神道碑)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1. 5. 22:17
송준길 서첩 – 민기 묘표, 신도비(宋浚吉 書帖 - 閔機 墓表, 神道碑) 경기도 유형문화재 조선 현종 대의 대학자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1606~1672)이 해서(楷書)로 쓴 경주부윤(慶州府尹) 민기(1568~1641)의 묘표 앞면과 신도비문의 원고를 모아 편집한 서첩이다. 송준길의 글씨는 대자(大字) 해서로 남아 있는 것이 매우 드물며, 신도비문 원고는 글자를 새기기 전에 옮겨 쓴 표격지를 그대로 잘라 장첩하여 더욱 주목된다. 또한 민기의 손자인 민시중(閔蓍重, 1625~1677)의 인장(閔蓍重藏, 민시중장)이 찍혀있어 소장 내력을 알 수 있다. 동춘당과 우암 송시열은 송설체(松雪體)와 한석봉체(韓石峯體)의 토대 위에 안진경체(顏眞卿體)의 두터운 맛을 가미시킨 양송체(兩宋體)를 함께 창안함으로써 조..
-
통합기준점(統合基準點, Unified Control Point)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1. 9. 22. 19:19
통합기준점(統合基準點, Unified Control Point) 통합기준점은 국토에 대한 평면적 위치와 높이, 그리고 중력 값에 대한 지리적 분포와 시간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알 수 있도록 설치한 국가 기준점이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전국에 10km 간격으로 1,200여 개의 기준점을 설치하였고, 현재는 7,000여 개를 3km 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다. 통합기준점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개발, 국가 기본측량, 지적측량, 지도제작 및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등에 중요한 측량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설치된 통합 기준점의 측량 값은 아래와 같다 - 위도 : 37도 16분 31.6820초 - 경도 : 127도 03분 15.2103초 - 표고 : 57.7978m - 중력값 : 979918.514 mG..
-
지자기점(地磁氣點, Geomagnetism Point)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1. 9. 21. 04:09
지자기점(地磁氣點, Geomagnetism Point) 지자기점은 지구가 가지고 있는 자석의 성질(편각, 복각, 전자력)을 측정하는 국가 기준점이다. 지역별 지자기점에 대한 정보(나침반 편차 등)는 지도, 항공도 등을 작성할 때에 이용될 뿐 아니라 지표면 아래의 내부 구조를 분석하고 자원을 탐사할 때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지구의 자석 성질(지자기 3요소) - 편각(偏角) : 북극(정) 방향과 나침반(羅針盤, 자석) 상의 북극 방향 사이의 각 - 복각(伏角) : 지구의 수평면과 자기장(磁氣場)의 성운이 이루는 각 - 전자력(電磁力) : 자기장의 세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 (원천동) 국토지리정보원 內
-
중력 기준점(重力 基準點, Gravity Station)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1. 9. 19. 19:15
중력 기준점(GRAVITY BASE) 대한민국 건설부 국립지리원(현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중력 기준점(重力 基準點, Gravity Station) 지구 상의 모든 몸체는 지구 중심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받고 있는데 이것을 중력이라고 한다. 중력의 크기를 땅의 모양이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정확하게 재는 것을 중력 측량이라고 한다. 중력 기준점은 이렇게 측량한 중력의 크기를 표시한 국가 기준점이다. 중력의 크기는 지하자원이나 지하수의 이동탐사, 인공위성의 궤도 결정, 지구의 형상 연구 등에 사용된다. 일상생활에서 중력의 크기는 정밀 저울 등을 제작하는 기준으로 이용되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92 (원천동) 국토지리정보원 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