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들이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경산향교(慶山鄕校)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6. 6. 20:05
경산향교(慶山鄕校) - 대성전, 내삼문 이 향교는 고려 공양왕(恭讓王) 2년(1390)에 옥곡동에 창건(創建)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 때 크게 훼손되어 1681년에 신교동으로 옮겼다. 1911년에는 경산공립보통학교(경산초등학교) 설립으로 인하여 향교의 여러 건물이 해체되었으며, 1997년 도로 확장공사로 대성전(大成殿)과 내삼문(內三門), 그리고 사주문(四柱門)만 현 위치로 다시 옮기게 되었다. 본래 향교는 제향공간인 대성전(大成殿)이 있고 고을의 크기에 따라 동무(東廡), 서무(西廡)가 있기도 하며, 강학 공간에는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齋)가 있다. 1998년부터 이건 복원계획에 따라 새로이 제향 공간의 동무(東廡), 서무(西廡)와 강학 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
-
광주안씨(廣州安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6. 04:05
광주안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안씨의 총서(叢書) 작가 : 안의종 광주안씨는 정충대절(貞忠大節)의 충신과 학문덕행(學問德行)의 학자(學者)와 공신(功臣)을 배출한 문무겸비(文武兼備)의 가문이다. 본 작품은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교지 형태로서 선조께서 조정에 나아가 진충보국(盡忠報國) 하셨던 충정을 표현하였으며, 좌측에는 대나무, 우측에는 매화를 두어 선비 정신을 상징화하였다. 광주안씨(廣州安氏) 유래 조선 영조 15년, 서기 1739년 발간된 광주안씨세보(廣州安氏世譜, 己未大同譜)에 시조는 고려 태조 때의 안방걸(安邦傑)이며 경기 광주에서 읍인(邑人)이 반란을 일으키자 창의토평(倡義討平)한 공(功)으로 대장군(大將軍)이 되고 광주군(廣州君)에 봉(封)하여 광주(廣州)를 본관(本貫)으로 하였다고 기록되..
-
사적, 경복궁 동십자각(景福宮 東十字閣)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6. 5. 19:05
사적, 경복궁 동십자각(景福宮 東十字閣) 동십자각(東十字閣:동궐대)은 궁궐을 지키는 보초가 서있던 망루이다. 그래서 궁궐의 부속 건물답게 지붕에 잡상이 얹혀 있고, 단청도 되어있다. 내부에 방을 둔 구조나 성가퀴도 만약에 있을지 모를 전투를 위하여 설치해 놓은 것이다. 성가퀴란 여장(女墻), 성첩(城堞)이라고도 하는데, 성 위에 담장을 덧쌓고 아(亞) 자로 구멍을 여러 개 내어서 성을 지키는 쪽이 몸을 숨기고 적을 공격할 수 있게 한 시설이다. 동십자각의 출입구는 서쪽 성가퀴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궁궐에 가까운 쪽 여장 끝에 문이 나있는 것이 보인다. 여기에는 성벽 안쪽에서 걸어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이어져 있었다. 원래는 경복궁의 앞쪽 성벽과 동쪽 성벽에 동십자각에 잇닿아 있었다. 그러나 동쪽 성벽..
-
이천서씨(利川徐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5. 04:04
이천서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은혜(恩惠) 갚은 사슴 작가 : 한국환경조각연구소 신동수 인간의 선한 본성을 통한 생명 존중과 존엄성을 표현하고 이는 지혜와 온건함, 순수함과 신의, 높은 기상과 강한 의지, 그리고 평화를 사랑하는 이천서씨의 본연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화강암 좌대위에 사슴 암수 한쌍을 새겨 사슴의 은혜를 상징화시킴. 십장생과 일원 자연은 문중의 번영을 표시함. 여섯 개의 산봉우리는 강동육주와 8성 280리를 획득한 구국의 영웅 서희선생의 업적을 표시함. 하단의 좌대는 시조를 의미하며 그 위로 뻗어나가는 산의 형상은 이천서씨의 번영과 안녕을 기원함 이천서씨(利川徐氏) 유래 신라 개국공신(新羅開國功臣) 서두라(徐豆羅)의 후예로 서씨(徐氏) 시조(始祖)는 신라 말 아간(阿干) 벼슬에 올랐던..
-
원주변씨(原州邊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4. 04:05
원주변씨 상징 조형물 작품명 : 석종 작가 : 김일환 본 작품은 고려의 충신이고 불의에 굴하지 아니하고, 충절을 지키시다 순절하신 원주변씨 시조이신 변안열 장군의 호국정신과 충절의 정신을 근원으로 하여 음관을 통하여 후손들과 세상에 널리 전파한다는 뜻으로 작품을 석종으로 형상화하였다. 변안열 장군은 나라를 위한 충정심이 남달랐던 정신을 후손들이 알고 자긍심과 존경심을 갖도록 형상화했다. 종 위, 아래에는 당초 문양으로 표현하고 종 하단부에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꽃 무궁화를 비구상으로 동서남북 사방에 넣어서 후손들의 화합을 형상화하였다. 음관은 변안열 장군의 충절을 상징하는 대나무를 애석으로 형상화하고 고려종의 특징인 종 후면에는 비천사 문양을 형상화하였다. 원주변씨 유래(原州邊氏 由來) 원주변씨는 본래 ..
-
십자가의 길 15처 - 명동대성당국내 나들이/천주교(天主敎) 2022. 6. 3. 20:05
십자가의 길(The Via Dolorosa) 십자가의 길은 예수님께서 본시오 빌라도(Pontius Pilate) 총독 관저에서 사형선고를 받으시고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 언덕(Golgotha)에 이르기까지의 14가지 중요한 사건을 통해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며 바치는 기도다. 십자가의 길 기도의 형태와 의미 1731년 교황 클레멘스 12세가 십자가의 길을 14처로 고정한 이후 십자가의 길 기도는 오늘날까지 가장 전통적이고 대중적인 기도로 자리 잡아 왔다. 이 14처는 ① 사형선고 받으심 ② 십자가를 지심 ③ 첫 번째 넘어지심 ④ 어머니 마리아를 만나심 ⑤ 시몬이 예수님을 도와 십자가를 짐 ⑥ 베로니카가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림 ⑦두 번째 넘어지심 ⑧ 예루살렘 부인들을 위로하심 ⑨ 세 번째 넘어지심 ..
-
광주반씨(光州潘氏) - 대전 효월드 뿌리공원국내 나들이/공원(公園)으로 2022. 6. 3. 04:05
광주반씨(光州潘氏) 유래 반씨(潘氏)는 주(周) 문왕의 손자 계손(季孫)이 반 땅에 봉(封)해져 그 지명을 따 반(潘)씨 성이 유래되었다. 계손의 후손 부(阜)께서는 송나라 이부상서로 원(元)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볼모로 온 고려 세자(충렬왕)을 만나 인연으로 제국대장공주를 모시고 고려에 귀화해 문하시중에 오르시고, 충렬왕은 그의 공로를 높이 평가 기성(岐城) 부원군에 봉하고 거제를 식읍으로 하사하셨다. 시호는 문절(文節)이시며 기성반씨 시조이시다. 유항(有抗)공 예부상서, 영원(永源)공 밀직상서, 익순(益淳)공 우시중, 복해(福海)공 광록대부, 문하찬성사, 추충량절익대좌명보리공신, 제성부원군에 훈봉. 자건(自建)공은 고려 평장사, 이조판서, 좌찬성, 영평군에 훈봉 공신세족으로 빛났다. 고려 공조전서 충..
-
단오 부적(端午 符籍)국내 나들이/박물관(博物館) 2022. 6. 2. 21:10
단오 端午 전날 - 서지 김윤식 이웃들은 단오 端午 를 앞에 두고 감나무에 농약 農樂 을 뿌린다 십년도 전에 돌아가신 도전숙부 道田叔父 총각 때니까 오십년 五十年 은 되었을 반시 盤柿 짙어가는 나무 그늘에서 약 藥 을 뿌려야 하나 몇일을 생각한다 하필이면 나무가지에 덮힌 외양간 처마에 제비는 깃을 치고 애눈도 없이 멋대로 깐 새끼 네 마리 오늘도 무료한 오후 午後 이번에는 어느 놈이 받아 먹는가 우두커니 앉아서 해를 넘긴다 山村近 日 抄 中 이천 십년 추석 장산 박도일 씀 단오 부적(端午 符籍) 단오를 맞아 그해의 나쁜 기운(厄, 액)을 쫓기 위해 쓰는 부적으로 단오부(端午符), 천중부적(天中符籍), 치우부적(蚩尤符籍)이라고도 부른다. 단오는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로, 이날 부적을 쓰면 잡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