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행궁 북군영(華城行宮 北軍營) "화성성역의궤"에는 공해(관아) 건물로 분류해 놓았다. 장용외영의 친군위(화성의 기병)는 처음 좌,우열로 각 100명씩 입직숙위하는 곳이 남.북군영이다. (화성행궁 전체는 동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방위로 볼때 남쪽과 북쪽방향에 군영이 있다.) 1789년(정조 13년) ..
화성행궁 집사청(華城行宮 執事廳) 집사(執事)란 주인을 모시고 그 살림을 맡아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화성행궁(華城行宮)의 집사청(執事廳)은 궁궐의 액정서(掖庭署:국왕이 쓰는 붓과 먹, 벼루 등을 보관하며 대궐안의 열쇠를 간수하고 여러가지 설비, 비품 등을 관리하는 관청)와 같이 잡다한 사무를..
화성행궁 신풍교(華城行宮 新豊橋) 화성행궁(華城行宮)은 정궁의 형태로 만들어진 궁궐로 팔달산으로부터 발원한 명당수가 정문 앞에 흐르고 있다. 명당수란 궁궐 앞에 맑은 물이 흘러내리게하여 궁궐로 출근하는 관리들이 그 맑은 물을 보고 마음을 깨끗하게 하여 올바른 업무를 보게 ..
설경(雪景)속의 화성행궁(華城行宮) 화성행궁(華城行宮)은 1789년(정조 13년) 수원읍치를 원래 있던 화산(花山)에서 팔달산(八達山)으로 옮기면서 관아로 사용하였으며 당시는 54칸의 규모였다. 사도세자의 묘를 화산으로 옮긴 후 원행 시에는 행궁으로 사용하면서 필요한 건물들을 증수한 ..
장용영외영의 사령부인 화성행궁의 중영(中營)이 있던 자리 수원지역은 예로부터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으로 평가받은 지역으로 화성 축성이후 정조(正祖)는 화성의 군사적 방어 시스템을 완벽하게 갖추고자 했다. 중영(中營)은 화성행궁(華城行宮)을 호위하고 화성을 호위하는 장용..
이아(貳衙)는 화성행궁(華城行宮)의 관아(官衙)이며 천주교 성지(天主敎 聖地) 이아(貳衙)란 두번째 관아(官衙)란 뜻이다. 즉 첫번째 관아는 화성행궁(華城行宮)을 말한다. 1789년 수원도호부의 관아와 읍치를 현재의 팔달산 인근으로 옮기고 새로운 관아를 만들었다. 그래서 동헌 이름을 장..
화성행궁(華城行宮 ) 화성행궁은 정조가 현륭원에 전배(展拜)하기 위하여 행행(幸行) 때에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상시에는 부사(뒤에는 留守)가 집무하는 부아(府衙)로도 활용하였다. 정조는 왕 13년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부터 정조 24년 1월까지 12년간 13차례에 걸친 원행(園行)..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