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된 비운의 장소, 덕수궁 중명전(德壽宮 重明殿) - 사적 제124호 중명전(重明殿) 중명(重明)은 ‘주역(周易)’ 리(離)괘에 나오는 용어로 군신(君臣) 상하(上下)가 모두 밝아짐을 의미한다. 중명전(重明殿)은 경복궁(景福宮)의 집옥재(集玉齋)와 같은 황제 서재로 지어졌..
전통과 근대가 만난 덕수궁(德壽宮) 대한문(大韓門) 덕수궁의 정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우진각지붕집이다. 원래 정전(正殿)인 덕수궁(德壽宮) 중화전(中和殿)의 정면에 있었던 것을 나중에 동쪽으로 옮긴 것이다. 1897년(광무 1) 고종이 명례궁(明禮宮)을 옛이름인 경운..
덕수궁 석조전(德壽宮 石造殿) 덕수궁 석조전은 덕수궁 안에 있는 근대 서양식 건물로 기본설계는 영국인 G.R. 하딩이, 내부설계는 영국인 로벨이 했으며, 공사감독은 한국인 심의석, 러시아인 사바틴, 일본인 오가와(小川陽吉), 영국인 M.H. 데이빗슨 등이 했다. 1900년(광무 4)에 착공하여 19..
대한제국의 역사가 흐르는 궁궐 속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國立現代美術館 德壽宮館)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은 1938년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미술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해방 이후에는 석조전(지금의 ‘대한제국역사관’) 부속 건물로 사용했다. 한국전쟁이 ..
덕수궁(德壽宮)의 상징스런 건물, 준명당(浚眀堂)과 즉조당(卽阼堂) 덕수궁(德壽宮) 준명당(浚眀堂)과 즉조당(卽阼堂) 덕수궁 준명당(德壽宮 浚眀堂) 덕수궁 준명당(德壽宮 浚眀堂)은 고종이 러시아공관(俄館)으로부터 경운궁(慶雲宮, 현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기기 ..
고종 황제의 생활공간,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 - 보물 제820호 함녕전은 고종 황제가 거처하던 임금님의 생활공간(침전)이다. 광무 1년(1897)에 지었는데 광무 8년(1904) 수리공사 중 불에 타, 지금 있는 건물은 그해 12월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당시 함녕전의 온돌을 수리하고 이를 말리..
내외빈객 접견하는 건물, ‘덕수궁 덕홍전(德壽宮 德弘殿)’ 덕수궁의 덕홍전은 고종황제가 내외빈객들을 접견하던 건물로, 1911년에 건립되어 현존 전각 중에 가장 나중에 건조된 전각의 하나이다. 기단은 장대석을 돌려쌓고 알맞은 기둥 높이에 간결한 익공(翼工)을 얹어 처마를 받게 ..
동서양의 건축양식이 조화를 이루는 '덕수궁 정관헌(德壽宮 靜觀軒)' 덕수궁 정관헌(德壽宮 靜觀軒)은 함녕전(咸寧殿) 뒤편의 화계를 정원 삼아 위치해 있고, 대한제국 시절 고종이 다과를 들거나 음악을 감상하던 휴식처로 쓰였고, 외교사절단을 맞아 연회(宴遊處)를 여는 등의 목적으로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