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홍주읍성(洪城 洪州邑城) 안회당(安懷堂) - 사적 제231호 안회당 현판 1991년 11월 9일 정원식 국무총리가 참석하여 안회당 준공식과 현판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洪州東軒 安懷堂(홍주동헌 안회당) 안회당기(安懷堂記) 홍성 홍주읍성(洪城 洪州邑城) 안회당(安懷堂) - 사적 제231호 홍주목..
통도사 대웅전(通度寺 大雄殿) 및 금강계단(金剛戒壇) - 국보 제290호 금강계단(金剛戒壇) 금강계단은 대웅전에서 유리창 너머 바라본다하여 부처없는 대웅전으로 유명하다. 금강계단으로 들어서면 신발을 바꾸어 신고 사리탑을 중심으로 사방 한바퀴 돌아 나올 수 있도록 이동순서를 정..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집, 서울 운현궁(雲峴宮) 운현궁은 조선 26대 임금인 고종(高宗)이 등극하기 전에 살았던 잠저(潛邸)로서 생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집이다. 흥선대원군은 이곳을 무대로 10여 년간 집정하면서 어린 아들을 대신해서 정치를 했다. 서운관(書雲觀)..
경주 양동 무첨당(慶州 良洞 無忝堂) - 보물 제411호 조선시대에는 한양에서 임금이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경상도는 '좌(左)'로 불리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경주 양동마을의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선생의 종가 무첨당(無忝堂)에는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興..
해우당고택(海愚堂古宅) 이 건물은 선성김씨(宣城金氏) 입향조 김대(金臺)의 셋째집 손자 영각(永珏, 1809~1876)이 1830년에 건립하였고, 고종(高宗) 때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지낸 영각의 아들 해우당(海愚堂) 김낙풍(金樂灃, 1825~1900)이 1879년에 중수(重修)하였다. 건물의 평면구성은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아들, 흥친왕(興親王) 신도비(神道碑) 흥선대원군의 장남이자 고종의 형인 흥친왕(興親王) 이재면(李載冕,1845~1912)의 신도비(神道碑)이다. 1910년 국권피탈 직전에 희(熹)로 바꾸고, 흥친왕에 봉해졌다. 그는 1863년 과거에 급제하면서 규장각 대교, 승정원 가주서를..
우리나라 왕실문화의 전당, 서울 운현궁(雲峴宮) 운현궁은 조선 26대 임금인 고종(高宗)이 등극하기 전에 살았던 잠저(潛邸)로서 생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집이다. 흥선대원군은 이곳을 무대로 10여 년간 집정하면서 어린 아들을 대신해서 정치를 했다. 서운관(書雲觀..
운현궁(雲峴宮) 수직사(守直舍) 운현궁(雲峴宮)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살아던 집으로, 고종이 태어나서 왕위에 오를 때까지 자란 곳이기도 하다. 운현궁(雲峴宮)의 수직사(守直舍)는 경비와 관리를 담당했던 사람들이 거처하던 곳이다. 당시의 운현궁은 상당히 넓었을 뿐만 아니라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