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금강산 화암사(大韓佛敎曹溪宗 金剛山 禾巖寺)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로 769년(신라 혜공왕 5) 진표(眞表)가 창건하고 이름을 금강산 화엄사(華嚴寺)라 했다. 사적기에 의하면, 당시 금강산으로 들어온 진표는 금강산의 동쪽에는 발연사(鉢淵寺)를, ..
수바위(쌀바위) 이야기 수바위(수암)에서 본 화암사(禾巖寺) 화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이다. 769년(혜공왕 5) 진표율사(眞表 律師)가 창건하여 금강산 화엄사(華嚴寺)라고 하였다. 사적기에 의하면, 당시 금강산으로 들어온 진표는 금강산의 동쪽에 발..
미시령(彌矢嶺) 옛길 미시령(해발 767m)은 한계령과 함께 설악산 서쪽의 인제와 동해안의 외설악을 이어주는 교통로이다. 조선시대 미시파령으로 불린 험준한 고개로 15세기에 길이 개척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다시 길이 폐쇄되기도 하였다. 미시령 정상에서 북쪽으로는 신선봉, 대간령, 진..
31인이 하늘로 올라간 곳에 있는 유적, “건봉사 등공대(乾鳳寺 騰空臺)” 등공(騰空)이란 육신이 살아있는 그대로 허공으로 날아 오르면서, 몸은 벗어버리고 영혼만 부처님의 연화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서기 747년 발징화상(發徵和尙)께서 정신, 양순 등 수행승 31인과 신도 1,820명..
고성 공룡나라휴게소 한국도로공사 ㈜연합진흥 측에서 운영 중인 고성공룡나라 하남방향 휴게소(대전통영간 고속도로 위치). 휴게소 공원에는 공룡나라답게 '트리케라톱스'라는 공룡 두마리가 행락객을 반기고 있다. 그 앞엔 공룡 발자욱도 있고, 뒷 배경도 공룡이 살았을 듯한 배경을 ..
설악산 울산바위의 유래 설악산 울산바위의 유래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등에 걸쳐 있는 설악산의 외설악에 울산바위가 있다. 병풍같이 솟은 이 거대한 바위는 하나의 큰 산을 이루고 있는데, 동양에서는 가장 큰 돌산이라고 한다. 이 돌산은 사면이 절벽으로 되어 있고, 높..
고성팔경(高城八景) 송지호(松池湖)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내에서 남쪽으로 공현진을 지나서 7번국도 변에 있는 자연 석호인 송지호는 죽왕면 오호리와 인정리에 인접해 있으며 오봉리 산167-1번지에 위치해 있는데 면적은 0.5㎢이다. 울창한 송림에 둘러 싸여 이름 붙여졌으며 본래는 송지..
고성왕곡마을(高城旺谷村)-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 제235호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리에 위치한 왕곡마을의 형성은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말 두문동 72현 중의 한 분인 양근 함씨 함부열이 이성계의 조선건국에 반대하여 간성에 낙향 은거한데서 연유하며 그의 손자 함영근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