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 금서루(公山城 錦西樓) 공산성 비석군(公山城 碑石群) 공산성 금서루 입구에는 47개의 비석이 일렬로 정리된 채 자리하고 있다. 이 비석들은 공주와 관련된 인물들의 행적을 기리기 위한 비석들로 이들의 벼슬과 행적 등이 비석에 새겨져있다. 이들 비석은 본래 이 자리에 있던 것..
노숙 의적비(盧璛 懿績碑) 勤王忠臣觀流堂盧公璛懿績碑(근왕충신관류당노공숙의적비) 노숙 의적비(盧璛 懿績碑) 노숙 의적비는 1999년 충신 노숙(盧璛, 1587~1655)의 공적을 기리고자 세운 것이다. 노숙은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삼의사(응환, 응탁, 응호) 중 한 명인 노응환의 아들..
공주공산성 임류각(公州公山城 臨流閣) 이 임류각은 백제 24대 동성왕 22년(500)에 왕궁 동쪽에 지은 건물이다. 높이가 15m에 이르는 고층으로 왕과 신하들의 연회장소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1980년에 공산성 발굴조사 과정에서 임류각 터를 발견하고 1993년에 문헌기록 및 발굴조사 결과를 근..
공주 공산성 금서루입구 비석군(公州 公山城 錦西樓入口 碑石群) 공산성 금서루 입구에는 47개의 비석이 일렬로 정리된 채 자리하고 있다. 이 비석들은 공주와 관련된 인물들의 행적을 기리기 위한 비석들로 이들의 벼슬과 행적등이 비석에 새겨져있다. 이들 비석은 본래 이 자리에 있던 ..
공산성 광복루(公山城 光復樓) - 문화재자료 제50호 공산성 동쪽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2층 누락으로, 공산성 안에 주둔한 군대를 지휘하던 중군영(中軍營)의 문이었다. 원래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옆에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위치로 옮기고 웅심각(雄心閣)으로 불렀는데, 1946..
명국삼장비(明國三將碑) 정유재란 이듬해인 선조 31년(1598)가을 공주에 주둔하면서 공주민을 왜(倭)로부터 보호해주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보살펴준 명(明)나라의 3장수 제독 이공(提督 李公), 위관 임제(委官 林濟), 유격장 남방위(遊擊將 藍芳威)의 업적을 기린 사은송덕비(謝恩頌德..
목사 김효성비(牧使 金孝誠碑) - 공주시 문화재자료 제75호 공주 공산성 비석군 47기중 1기로 조선시대 공주목사였던 김효성(1585-1651)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1828년(순조28)에 세운 비석. 이 비석은 원래 공주 옥룡동에 있었으나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비문과 머릿돌은 원래의 모습이지..
공산성 백제연못(公山城 百濟蓮池) 백제시대 왕궁내에서 발견된 인공연못이다. 이곳에 빗물을 받아 저장하여 연못으로도 사용하였고, 화재가 났을 때 소방용으로도 사용하였다. 연못의 평면은 원형이고 단면은 대접형태이다. 이 연못은 화강암 지반을 지름 약 9.5cm정도로 넓게 판 후 자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