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도교 중앙대교당(天道敎 中央大敎堂) 이 건물은 의암(義庵) 손병희(孫秉熙) 선생의 주관 하에 1918년에 시공하여 1921년에 완공한 천도교의 교당이다. 이곳에서는 천도교의 종교 의식 외에 각종 정치집회. 예술공연. 강연회 등 일반행사를 개최하였는데 당시 이 건물은 비교적 높고 웅장하..
정조대왕이 잠시 쉬던 행궁,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 주교사지(舟橋司址) 주교사는 임금이 행차할 깨 한강에 부교(浮橋)를 넣는 일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방의 조운(漕運)을 맡아 보던 조선시대의 관아이다. 정조 13년(1789년)에 설치 되었으며 고종 19년(1882년)에 폐지된 후 업무가 금..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大韓聖公會 서울主敎座聖堂)이 건물은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좌성당으로서 조선 성공회 3대 주교인 마크트롤로프(Mark Trollope, 한국이름 조마가) 주교가 1922년 영국인 아더 딕슨(A.Dixon)의 설계대로 착공하여 1926년 5월 2일에 미완성인 채 992m²(300평)의 3층 구..
봉은사 북극보전(奉恩寺 北極寶殿)과 봉은사 칠성도(奉恩寺 七星圖) 북극보전은 1942년 중건되었으며 산신(山神), 칠성(七星) ,독성(獨聖, 나반존자) 등이 모셔져 있어 흔히 삼성각(三聖閣)이라 부르며 칠성각(七星閣)이라고도 불린다. 북극보전은 민간신앙과 불교가 자연스럽게 접목되었음..
봉은사 진여문(奉恩寺 眞如門)과 봉은사 목 사천왕(奉恩寺 木 四天王像) 봉은사 입구에는 사천왕상을 모신 진여문이 있다. 진여문은 1939년 대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982년 다시 지은 것으로 이곳에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다. "진여(眞如)“란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사물의 본체로서 영..
봉은사 판전 현판(奉恩寺 板殿 懸板) 봉은사 판전 현판 또는 봉은사 김정희서판전 현판(奉恩寺 金正喜書板殿 懸板)은 조선 19세기 전반의 대표적 문인서화가 김정희가 만년에 쓴 봉은사 판전의 현판 필적이다. 봉은사 판전 현판은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죽기 사흘 전에 쓴 ‘판전’이란 ..
수표교(水標橋) 장충단 공원 입구에 놓여있는 돌다리로, 원래는 청계천 2가에 있었으나 1959년 청계천 복개공사를 하면서 1965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다리 길이 27.5m에 폭 7.5m, 높이 4m이며 화강암을 짜맞추어 만들어 놓은 것으로, 아래의 돌기둥이 특이하게도 2단을 이루고 있다. 그 중 ..
장충단비(奬忠壇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호 이 비는 1900년(광무 4년) 서울시 장충동에 건립된 장충단비(奬忠壇碑)로 민영환(閔泳煥)이 비문을 지었고 글씨를 썼다. 장충단은 조선 고종 32년(1895년)에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일본인을 물리치다 순사한 홍계훈(洪啓薰), 이경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