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월영대(月映臺)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4. 28. 21:11
移轉 重修碑(이전 중수비) 문화재명 : 月映臺 지정종별 : 경북지방 유형 제22호 원위치 : 안동군 임동면 사월동 이전 연월일 : 서기 1976년 6월 2일 이전사유 : 본 문화재는 안동댐 건설에 의하여 수몰되므로 이를 안전하게 보존키 위해 이전 중수하였음 시공자 : 삼부토건 주식회사 시공청 : 안동군 월영교(月映橋)와 월영정(月映亭) 이 다리는 바닥과 난간을 목재로 만든 인도교로써 폭 3.6m, 길이 387m에 이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나무다리이다. 다리 이름은 많은 주민들이 참여하여 출품한 응모작 322점 중에서 '월영교'를 선정하였으며, 유난히 달(月)과 연관이 많은 이 지역의 유래에서 착안되었다. 이곳 안동댐 유역은 예로부터 전해오는 명칭이 '달골'이었으며 다리를 건너면 바로 '엄달골' 마을과..
-
박원숙 초가 겹집(朴原淑 草家) - 안동시 문화유산 제83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4. 23. 23:10
박원숙 초가 겹집(朴原淑 草家) - 안동시 문화유산 제83호 어느 정도 경제적 여유가 있는 농가로 안동시 와룡면(臥龍面) 가류동(加流洞)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1976년에 옮겨 왔다. 본채와 대문채, 고방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채를 중심으로 두 채가 ‘ㄷ’ 자로 배치되어 있다. 본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겹집으로 사랑방, 부엌, 마루방, 방, 안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문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규모로 방 – 대문간 – 외양간 – 광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고방채는 2칸 건물로 한 칸은 고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한 칸은 벽체 없이 빈 공간으로 두었다. 온돌 중심형 겹집에서 약간 변형된 형태로 외양간이 있어야 할 자리가 사랑방으로 변하고, 뒤쪽 안방이 확장된 점이 특징이다. 경상북도 안동시..
-
보물 수운잡방(需雲雜方)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1. 11. 15. 20:02
보물 수운잡방(需雲雜方) ‘수운잡방’은 경북 안동의 유학자 김유(金綏, 1491∼1555)와 그의 손자 김영(金坽, 1577∼1641)이 저술한 한문 필사본 음식 조리서이다. 제목의 ‘수운(需雲)’은 『주역(周易)』의 “구름이 하늘로 오르는 것이 ‘수(需, 需卦)’이니, 군자가 이로써 마시고 먹으며, 잔치를 벌여 즐긴다(雲上于天, 需, 君子以飮食宴樂).”에서 유래한 것으로, 연회를 베풀어 즐긴다는 의미이다. 곧 ‘수운잡방’은 즐겁게 먹을 음식을 만드는 여러 가지 방법이라는 의미이다. 이 책은 김유가 지은 앞부분에 86항, 김영이 지은 뒷부분에 36항이 수록되어 모두 122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14종의 음식 조리 및 관련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항목을 분류하면 주류(酒類) 57종, 식초류 6종, ..
-
병산서원(屛山書院) – 유네스코 세계유산, 사적 제260호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1. 6. 28. 04:12
복례문(復禮門) ‘복례(復禮)’는 논어 「안연(顔淵)」편에 “안연이 인(仁)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하기를, ‘자신의 사욕을 이겨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인을 실행하는 것이니, 하루라도 자신의 사욕을 이겨 예로 돌아간다면 천하 사람이 모두 어질다고 허여(許與)할 것이다. 〔顔淵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안연문인 자왈 극기복례위인 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고 한 구절에서 인용하였다. 사람마다 욕망과 탐욕의 유혹을 이겨내고 예(禮)로서 자신을 절제하여 유학의 종지인 인(仁)을 이룩하라는 의미에서 ‘복례문’이라 하였다. 광영지(光影池) 광영지는 선비들이 마음을 닦고 학문에 정진할 수 있도록 배려한 ‘서원 속의 정원’이다. 광영은 주자(朱子)의 시 관서유감(觀書有感)이란 시 중에서 ‘하..
-
미스터션샤인 촬영지, 안동 만휴정(安東 晩休亭)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1. 6. 9. 19:03
미스터션샤인 촬영지, 안동 만휴정(安東 晩休亭) 만휴정(晩休亭)의 명칭은 ‘말년에 쉬는 정자’라는 의미로 지었다. 한복을 입은 남매의 다정한 포즈 러브브릿지 만휴정입구 외나무다리에서... 寶白堂晩休亭泉石(보백당만휴정천석) '보백당이 말년에 쉬는 정자와 산수의 경치’라는 의미다. 吾家無寶物 寶物惟淸白(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 “나의 집에는 보물이 없다(吾家無寶物). 오로지 보물은 청백뿐이다.(寶物惟淸白)” 안동 만휴정 원림(安東 晩休亭 苑林) - 명승 제82호 만휴정 원림은 보백당 김계행(金係行, 1431~1517) 선생께서 1501년 길안 묵계로 낙향하시어 만년을 머물며 독서와 사색을 즐기기 위해 마련한 정자(만휴정,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 173호)와 정자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