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
이천서씨 열녀비(利川徐氏 烈女碑) - 안동시 문화유산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5. 9. 19:11
烈女 鄕吏 金昌慶 妻 利川徐姓之閭 (열녀 향리 김창경 처 이천서성지려) 이천서씨 열녀비(利川徐氏 烈女碑) - 안동시 문화유산 조선 순조 때인 1832년 경상도 관찰사 박기수(朴岐壽, 1774~1845)가 열녀 이천서씨(1795~1817)의 효행을 기려 안동시 율세동에 세웠으나 도시가 확장되면서 1983년에 이곳으로 옮겼다. 높이 91cm, 폭 34cm, 두께 19cm로 앞면에는 烈女 鄕吏 金昌慶 妻 利川徐姓之閭(열녀 향리 김창경 처 이천 서성지려)라고 쓰여 있다. 이천서씨는 향리를 지낸 김창경(金昌慶)의 아내로 시집온 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과 사별하고 몸이 불편한 시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였다. 그러나 외아들을 잃은 슬픔으로 마음의 병을 얻은 시부모는 며느리의 극진한 간호에도 불구하고 차례로 세상을 떠났..
-
육사 시비(陸史 詩碑) - 광야(曠野)국내 나들이/동상(銅像),흉상(胸像),비(碑), 2022. 5. 8. 21:07
陸史 詩碑(육사 시비)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음 열리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모든 산맥(山脈)들이 바다를 연모(戀慕)해 휘달릴 때도 차마 이곳을 범(犯)하던 못하였으리라 끊임없는 광음(光陰)을 부지런한 계절(季節)이 피어선 지고 큰 강(江) 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지금 눈 나리고 매화 향기(梅花 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유시(遺詩) - 광야(曠野) 曠野(광야)를 달리는 駿馬(준마)의 意志(의지)에는 槽櫪(조력)의 嘆息(탄식)이 없고 한마음 지키기에 生涯(생애)를 다 바치는 志士(지사)의 千古一轍(천고일철-생애)에는 成敗(성패)와 榮辱(영욕)이 아랑곳없는..
-
보물, 안동 석빙고(安東 石氷庫)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5. 8. 19:10
안동 석빙고 이전 중수비(安東 石氷庫 移轉 重修碑) 보물, 안동 석빙고(安東 石氷庫) 석빙고는 얼음을 넣어 두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창고로 밖에서 보면 큰 무덤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석빙고는 낙동강에서 많이 잡히는 은어를 왕에게 올리기 위해 만든 것으로 예안군읍지(禮安郡邑誌)인 선성지(宣城誌)에는 조선 영조 13년(1737년)에 부임한 예안현감 이매신(李梅臣)이 석빙고를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안동 석빙고 안에는 바닥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고, 경사진 바닥의 가운데에는 배수구가 있어 바깥으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다. 빙실(氷室)은 높이 5.4m, 길이 12.5m, 너비 6.1m로 길고 크게 다듬은 돌들을 무지개(虹霓, 홍예) 모양으로 쌓아 천장을 만들었고, 석빙고 안의 기온을 조절하기 위해 환기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선성현 객사(宣城縣 客舍)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5. 7. 20:10
선성현 객사 이전 중수비(宣城縣 客舍 移轉 重修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선성현 객사(宣城縣 客舍) 선성현 객사는 조선 숙종 38년(1712)에 예안현감(禮安縣監) 김성유(金聖遊)가 고쳐 지은 건물로 조선시대 객사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객사 중앙에는 정당이 있는데, 이곳에서 초하루와 보름에 전패를 모시고 궁궐을 행해 절을 하였다. 양쪽에 있는 건물은 사신(使臣)이나 관리(官吏)들의 숙소로 사용하였다. 정면 5칸, 옆면 3칸이며 정당의 지붕은 양쪽에 붙어있는 건물보다 다소 높다. 양쪽에 있는 객사는 정면 3칸, 옆면 3칸 모두 6칸의 대청에 1칸씩 툇마루가 있다. 안동댐 건설로 1976년에 도산면 서부리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 객사(客舍) : 고려, 조선시대에 각 고을에 설치하여 외국 사..
-
안동 다목적댐 준공기념탑국내 나들이/탑(塔) 2022. 5. 6. 21:06
K-Water(한국수자원공사) 안동댐 안동 다목적댐 준공기념탑 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동 산 162-8 安東 多目的댐 竣工 銘文(안동 다목적 댐 준공 명문) 여기 우리 민족의 오랜 宿願(숙원)이던 안동 다목적댐의 歷史的(역사적)인 竣工(준공)을 告(고)한다. 이 雄大(웅대)한 댐은 朴正熙 大統領 閣下(박정희 대통령 각하)의 安定(안정). 繁榮(번영). 統一(통일)에의 불타는 執念(집념)과 英斷(영단)을 받들어 우리의 科學(과학)과 技術(기술)과 슬기를 다하여 熱(열)과 땀으로 이룩하여 놓은 것이다. 낙동강(洛東江)의 旱水害(한수해)는 오랜동안 우리 祖上(조상)들의 삶과 마음을 앗아 왔으니 이제 이 댐에 담긴 太白峻嶺(태백준령)의 맑은 물로서 國土(국토)를 기름지게 하리라. 豐饒(풍요)를 約束(약속)하는 이 ..
-
권백종 정효비(權伯宗 旌孝碑) - 안동시 문화유산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5. 5. 19:10
권백종 정효비(權伯宗 旌孝碑) - 안동시 문화유산 권백종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그의 효행은 고려 충목왕 때인 1345년에 정려(旌閭)되어 경북 안동시 와룡면 도곡리에 목비(木碑)로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조선 영조 때인 1761년 석비(石碑)로 개수되면서 안동시내 남문가에 이설 되었다가 일제강점기에 운안동으로, 1989년에 이곳으로 옮겨졌다. 높이 130cm, 폭 50cm, 두께 22cm로 앞면에는 ‘孝子嘉善大夫檢校漢城尹贈中樞院副使權伯宗之閭 (효자 가선대부 검교한성윤 증 중추원부사 권백종지려)’라고 쓰여 있다. 그는 고려 충목왕 때 사람으로 조선 단종의 외증조부이다. 손자가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해 멸문(滅門)을 당하여 효 관련 자료가 없다. 다만 효자비 뒷면에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
-
남반고택(南沜古宅) - 안동시 문화유산국내 나들이/문화재(文化財)를 찾아 2022. 5. 4. 21:09
남반고택(南沜古宅) - 안동시 문화유산 조선 고종 때 홍문관(弘文館) 교리(校理, 정5품 벼슬)를 지낸 남반(南沜) 이만형(李晩瀅, 1825~1877)의 옛집으로 텍호는 교리댁(校理宅)이다. 원래 진성이씨(眞城李氏) 집성촌인 예안면 의인마을(현재의 경북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1976년에 옮겨 세웠다. 북향집으로 정침(正寢)과 대문채로 이루어져 있다. 대문을 열고 마당으로 들어서면 전방에 사랑채가 돌출되어 있고 그 뒤에 ‘ㅁ’자형에 가까운 안채가 이어져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ㅁ’자형에서 약간 벗어난 ‘巳’자형의 변형된 형태를 취한다. 크기는 정면 5칸, 측면 5칸이며 돌출된 부분이 2칸 반이다. 대문채는 정면 2칸, 측면 1칸으로 반가(班家, 양반 집) 건물로는 소박하게 초가..
-
원이엄마 테마길국내 나들이/관광지(觀光地)로 2022. 5. 4. 19:08
원이엄마 원이엄마 테마길 원이엄마 내간(內簡 ; 조선시대 때 주로 부녀자들 사이에서 주고받은 순한글 편지) 워늬아바님끠 샹백 자내 샹해 날드려 닐오되 둘히 머리 셰도록 사다가 함께 죽자 하시더니 엇디하야 나를 두고 자내 몬져 가시노 날하고 자식하며 뉘긔 걸하야 엇디하야 살라하야 다 더디고 자내 몬져 가시는고 자내 날 향해 마음을 엇디 가지며 나는 자내 향해 마음을 엇디 가지런고 매양 자내드려 내 닐오되 한데 누어 새기보소 남도 우리같이 서로 어엿비 녀겨 사랑호리 남도 우리 같은가 하야 자내드러 닐렀더니 엇디 그런 일을 생각지 아녀 나를 버리고 몬져 가시난고 자내 여히고 아무려 내 살 셰 업스니 수이 자내한테 가고져 하니 날 데려가소 자내 향해 마음을 차승(此乘)니 찾즐리 업스니 아마래 션운 뜻이 가이 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