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촌 전통민속관(박물관) 사라져가는 우리는 민속문화를 재현, 복원, 전시하고 있는 민속촌의 기능과 역할을 보완하기 위하여 1996년에 개관하였다. 전시물의 내용은 조선시대 후기의 어느 한 해를 중심으로 4대의 구성원들이 겪는 연중생활의 모습을 세시풍속과 민간신앙, 연희오..
한국민속촌 남부지방대가(韓國民俗村 南部地方大家) 이 가옥은 남부지방의 가옥을 옮겨온 것으로 가옥 전체에 마루와 툇마루, 누마루가고루 배치되어 있어 남부지방 양반가옥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ㄷ자형의 안채와 ㄱ자형의 사랑채, 일자형의 광채, 문간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
숨어있는 마을 은이성지(隱里聖址) 김가항성당(金家巷 聖堂) 한국 최초의 사제이며 순교자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사제서품을 받았던 중국 상해의 김가항 성당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1821-1846) 김대건(金大建) 신부의 본관은 김해로 부친 김제준 이냐시오(1796~1839) 성인과 모친 고 ..
성 김대건 신부가 어린시절을 보낸 곳, 골배마실성지 성 김대건 안드레아신부님(성장지) 골배마실성지 골배마실성지 출입문 비밀번호 8899 골배마실성지는 은이성지의 동쪽 갈미봉 아래에 위치한 양지파인리조트(양지 유스호스텔)와 양지파인골프클럽 남코스 2번홀, 3번홀 사이 골짜기에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1911년 개교한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후신으로 1947년 신흥전문학원, 1949년 신흥초급대학으로 개교하였다. 1952년 신흥대학으로 인가 받아, 1955년에 종합대학인 신흥대학교로 승격한 뒤 1960년 교명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로 바꾸었다. 1963년 음악대학,..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이라는 말이 있다. 살아서는 진천 땅에, 죽어서는 용인 땅에 거하는 게 좋다는 뜻으로 풍수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쳐 양택(陽宅)은 진천이, 음택(陰宅)은 용인이 최고라..
용인 고초골 공소(등록문화재 제708호) 및 고초골 피정의 집 고초골 공소는 건물 구조, 평면형식 등 건물 본래 모습 등 과거 용인 지역의 살림집 형태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근대 천주교가 정착해 가는 과정에서 한옥이변모해 가는 시대적 상황도 잘 보여주고 유산으로도 높은 평가..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한국민속촌(韓國民俗村) 한국민속촌은 오랜 시간을 거쳐 전승되어 온 우리 문화 속 생활풍속을 한데 모아 내외국인 관광객에게 민족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건립 초기부터 교육적 가치와 관광적 가치를 염두에 둔 최고의 전통문화 테마의 종합관광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