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산 허위선생 유허비(旺山 許蔿先生 遺墟碑) 허위(許蔿, 1855~1908) 선생은 구미시 임은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왕산(旺山)이다. 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의병을 일으킨 의병장(義兵將)이다. 을미년(1895년) 일제가 궁궐을 침입하여 황후를 살해한 을미사변(乙未事..
동서양의 건축양식이 조화를 이루는 '덕수궁 정관헌(德壽宮 靜觀軒)' 덕수궁 정관헌(德壽宮 靜觀軒)은 함녕전(咸寧殿) 뒤편의 화계를 정원 삼아 위치해 있고, 대한제국 시절 고종이 다과를 들거나 음악을 감상하던 휴식처로 쓰였고, 외교사절단을 맞아 연회(宴遊處)를 여는 등의 목적으로 ..
홍릉(洪陵) - 조선 제26대 고종(高宗)과 명성황후(明成皇后)의 능(陵) 홍릉 수라간(洪陵 水剌間) 수라간은 왕릉에 제향을 지낼 때 제사 음식을 간단히 데우는 등의 준비하는 곳이다. 홍살문에서 신도, 어도를 따라 양쪽으로 문석인, 무석인, 기린, 코끼리, 사자, 해태, 낙타, 말 오양의 석상을 ..
장충단공원(奬忠壇公園) 국민 가수 배호의 우수에 찬 목소리로 우리의 심금을 울리는 노래 “안개낀 장충단 공원”으로 널리 회자된 ‘장충단 공원’. 남산 동쪽 봉우리 종남산(終南山)기슭 아래의 동북쪽 일대는 예로부터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으로 경치 좋은 곳으로 이름이 높았다. 이..
서보단기념탑(誓報壇記念塔) 및 서보단사적기(誓報壇事績記) 구한말 일제에 의해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호남의 유림들이 분연히 일어나 `서보단(誓報壇)'을 쌓고 복수를 맹세한 당시의 현장인 국립공원 내장산 경내에 `사적비(事績碑)'와 `기념탑(紀念塔)'이 나란히 세워져있다. 조각가 김..
덕수궁(德壽宮)의 즉조당(卽阼堂)과 준명당(浚眀堂) 덕수궁(德壽宮)은 원래 궁궐이 아니었다.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의 집이었는데 임진왜란 때 왕궁이 모두 불타고 남아 있는 건물 중에서 가장 쓸만한 건물이었던 건물을 임시로 왕궁으로 쓰면서 역사에 등장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