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 내장사 관음전(內藏寺 觀音殿) 큰 자비(慈悲)의 어머니이신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모신 전각으로 전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내장사 관음전에는 천수천안관자재보살상(千手千眼觀自在菩薩像)이 모셔져 있다. 관세음보살(觀世音菩..
당나라시대 불교 건축물 곤명 원통사 원통보전(昆明 圓通寺 圓通寶殿) 원통사는 곤명에서 제일 큰 불교사원이고 운남성과 곤명시 불교협회의 소재지이며 중국 곤명에서 제일 오랜 불교 사원중의 하나이다. 원통사는 당나라시기에 건축되였으며 12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찍 당조..
기묘한 형상의 낙가산 눈썹바위 낙가산은 거대한 암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산이다. 암반아래에 마애관세음보살이 모셔져 있는 눈썹바위가 있다. 정상에서 보문사 방면으로 내려가다 보면 눈썹바위로 가는 길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바위위로 난 좁은 길을 통해 눈썹 바위에 조성된 관세음보살을..
두려움과 걱정을 없애 주는곳, 시무외전(施無畏殿) 설악산 오세암 시무외전(五歲庵 施無畏殿) 대한불교 조계종 백담사의 오세암은 647년(선덕왕 13) 자장 율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이곳에 선방을 짓고 머물렀던 자장율사는 관음보살의 진신을 친견하고, 관음보살의 도량임을 나타내기 위해..
오세암 삼성각 (五歲庵 三聖閣) 오세암은 647년(선덕왕 13) 자장 율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이곳에 선방을 짓고 머물렀던 자장 율사는 관음보살의 진신을 친견하고, 관음보살의 도량임을 나타내기 위해 관음암이라 하였다. 그 뒤 조선시대 초기 1445년(세조 1)에는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
동해의 관음기도도량 "낙산사 홍련암(落山寺 紅蓮庵)" 홍련암(紅蓮庵)은 강원도 양양군 낙산사 경내에 있는 작은 암자로 법당마루 밑으로 동해의출렁이는 바닷물을 볼 수 있게 절벽 위에 세워져 있으며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좌선한지 7일째 되는 날, 바다 속에서 홍련(紅蓮)..
등명낙가사 영산전 (燈明洛伽寺 靈山殿) 대한불교 조계종 등명낙가사의 금당인 영산전(靈山殿)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이 곳에 오백나한을 모신 영산전을 건립하게 된 것은 신라시대 이래 강원도 땅에 전승되어 오던 설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문수 보살과 ..
향일암 관음전 (向日庵 觀音殿) 전라남도 지방문화재 제40호인 향일암(向日庵)은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임포 산27번지 금오산(金鰲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 화엄사의 말사이다. 금오산의 형상은 마치 거북이가 경전(經典)을 등에 지고 용궁으로 들어가는 모습과 같다고 ..